티스토리 뷰
반응형
$ git remote add origin [레포지토리 주소] : [origin] - 연결한 원격 저장소의 닉네임
$ git push origin master : [master] - 브랜치의 이름(기본 브랜치)
브랜치 : 특정 기준에서 줄기를 나누어 작업할 수 있는 기능(포인터의 역할)
[HEAD]를 이용하여 브랜치 사이를 넘나들 수 있다.
꼬이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master 브랜치에 직접 커밋을 올리지 않는다.
브랜치를 생성할 때 위치가 중요하므로 base 브랜치를 잘 설정해야 한다.
checkout 명령어를 이용하면 브랜치를 생성하고 생성된 브랜치로 이동한다.
merge는 브랜치와 브랜치를 합친다. 이때 특정 브랜치를 기준으로 merge할 수 있다.
merge 시 같은 코드를 고치면 충돌이 날 수 있다. master 브랜치 대신 나만의 브랜치에서 먼저 merge 하여 문제 발생 여부를 확인 후 master 브랜치에서 merge 한다.
충돌이 난 부분을 확인 후 적절히 수정한다.
충돌이 나는 경우
1. a
2. b -> 1. a
-> 2. b
1. a -> 3. c
2. c
이런 식으로 수정한다.
pull request
브랜치를 합칠 때 나만 충돌 수정 후 master 브랜치와 merge 하면 협력자들이 알 수 없기에 팀장에게 요청하여 수정 부분을 알린다.
코드 관련은 추후 업데이트 예정
반응형
'정보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Hub 정리 0 (2) | 2020.11.07 |
---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