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반응형
동영상을 보고 정리한 내용으로 많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.
DI (Dependency Injection) 의존 주입
구성 요소간의 의존 관계가 소스코드 내부가 아닌 외부의 설정 파일 등을 통해 정의되게 하는 디자인 패턴
어노테이션(Annotation)
@SpringBootApplication 의 세 가지 기능
- @Configuration : 자바 코드로 작성된 클래스를 설정 파일로 지정
- @EnableAutoConfiguration : 스프링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만들 때 지정해 둔 설정값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켠다.
- @ComponetScan : 지정한 위치 이하에 있는 @Component와 @Configuration이 붙은 class를 스캔해서 Bean으로 등록한다.
@configuration : 클래스를 스프링 설정으로 사용함을 의미한다.
@Bean : 메서드의 리턴 값을 빈 객체로 사용함을 의미한다.
빈(Bean)
- 스프링이 Ioc 방식으로 관리하는 객체
- 스프링이 직접 생성과 제어를 담당하는 객체
빈 팩토리(BeanFactory)
- 스프링의 IoC를 담당하는 핵심 컨테이너
- Bean을 등록, 생성, 조회, 반환하는 기능을 담당
- 이 BeanFactory를 바로 사용하지 않고 이를 확장한 ApplicationContext를 주로 이용함.
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(Application Context)
- BeanFactory를 확장한 IoC 컨테이너
- Bean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은 BeanFactory와 동일하지만 스프링이 제공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함
- 스프링에서는 ApplicationContext를 BeanFactory보다 더 많이 사용함.
반응형
'웹 - Legacy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Boot로 게시판 만들기 (JPA) (4) | 2022.07.02 |
---|---|
Spring Boot로 게시판 만들기 (mustache) (0) | 2022.07.01 |
[Error]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'dataSourceScriptDatabaseInitializer' 해결 (0) | 2022.07.01 |
Spring Boot로 게시판 만들기 (Spring Initializer) (0) | 2022.06.21 |
[스프링] Missing 'tools.jar' 에러 해결법 (0) | 2020.08.01 |
댓글